본문 바로가기
창업

창업 시리즈 6편 팀 빌딩의 기술: 함께 미친 사람을 찾아라

by 블랙데블 2025. 11. 16.
728x90
반응형
BIG

 

🤝 창업 시리즈 6편

팀 빌딩의 기술  함께 미친 사람을 찾아라

 

회사를 만드는 일보다, 함께할 사람을 찾는 일이 더 어렵다.


1️⃣ 창업은 결국 ‘사람의 게임’이다

 

자금, 아이디어, 기술 — 이 모든 것은 결국 **사람이 실행해야 의미가 있다.** 훌륭한 팀은 훌륭한 제품보다 오래간다. 반대로, 좋은 아이디어도 나쁜 팀에서는 쉽게 사라진다.

창업은 ‘누가 함께 가느냐’의 싸움이다. 당신의 첫 번째 고객이 팀원이고, 팀이 곧 **회사의 문화이자 브랜드의 뿌리**가 된다.

 

2️⃣ 공동 창업자 선택의 원칙

 

공동 창업자는 단순히 역할을 나누는 사람이 아니다. 그는 **당신의 확신을 지탱해주는 거울**이다. 따라서 능력보다 중요한 것은 가치관의 일치다.

① 문제 인식의 공감 – 같은 문제를 ‘같은 시선’으로 보고 있는가?

② 갈등 해결 방식 – 위기에서 대화가 가능한가?

③ 시간의 헌신도 – 같은 열정으로 버틸 준비가 되어 있는가?

공동 창업자는 ‘같이 시작할 사람’이 아니라, ‘끝까지 버틸 사람’을 찾아야 한다.




 

 

3️⃣ 팀 문화는 초기에 결정된다

스타트업의 문화는 선언문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것은 초기 몇 명의 태도와 대화 방식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리더의 말투, 회의의 공기, 실패를 대하는 태도** — 이 모든 것이 조직의 정체성이 된다.

초기에 정립된 문화는 이후 수백 명이 되더라도 DNA처럼 남는다. 그래서 창업자는 처음부터 **‘어떤 사람이 모인 회사가 될 것인가’**를 정의해야 한다.

 

4️⃣ 신뢰는 투명한 소통에서 생긴다

팀의 갈등은 대부분 ‘정보의 불균형’에서 비롯된다. 창업가는 모든 걸 통제하려 하기보다, **맥락을 공유하는 리더십**을 가져야 한다.

“왜 이 결정을 내렸는가”를 설명하는 것이 “무엇을 하자”보다 훨씬 중요하다. 신뢰는 통제에서 나오지 않는다. 신뢰는 이해받고 있다는 느낌에서 나온다.

 

5️⃣ 유능한 사람보다 ‘맞는 사람’을 뽑아라

창업가는 종종 ‘능력 있는 인재’를 원한다. 하지만 스타트업의 초반에는 **가치관이 맞는 인재**가 더 중요하다. 기술은 배울 수 있지만, 태도는 바뀌기 어렵다.

팀의 성장은 구성원의 다양성보다 **방향의 일관성**에서 나온다. 다름은 필요하지만, 중심은 하나여야 한다.

빠르게 가고 싶다면 혼자 가라. 멀리 가고 싶다면, 마음이 맞는 사람과 가라.


6️⃣ 실제 사례로 보는 팀 빌딩의 성공

 

① 토스(Toss) – “단순함”에 미친 팀

토스 팀의 문화는 ‘복잡함을 없애는 사람들의 집합’이었다. 디자이너, 개발자, 마케터 모두 ‘단순화’라는 철학 아래 움직였다. 이는 단일한 가치관이 만든 강력한 실행력의 사례다.

② 당근마켓 – “이웃 같은 팀워크”

당근마켓은 사용자 중심 철학을 팀 내부에도 동일하게 적용했다. ‘서로를 신뢰하고 존중하는 문화’가 곧 브랜드의 따뜻함으로 확장됐다.

③ 우아한형제들 – “유머와 진심의 조직문화”

‘웃긴데 진지한 사람들’이라는 표현처럼, 그들의 팀 문화는 유머와 진정성이 공존했다. 이는 기업 철학이 일상 언어로 녹아든 사례다.

 

 

 

7️⃣ 리더는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믿는 사람’이다

리더십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신뢰를 분배하는 기술**이다. 창업가가 모든 결정을 직접 내릴 때, 팀은 성장 대신 의존에 갇힌다.

진짜 리더는 ‘어떻게 하라’보다 ‘왜 해야 하는가’를 설명한다. 그 철학적 설명이 팀의 자율성을 만든다.

 

8️⃣ 창업팀이 흔히 빠지는 함정

 

① 역할 중복 – 명확한 역할 분리가 없으면 책임도 흐려진다.

② 감정 누적 – 문제보다 관계가 먼저 터진다.

③ 성장 속도 불균형 – 회사보다 사람의 성장이 느리면 마찰이 생긴다.

팀은 관계의 합이다. 성장하려면 기술보다 **감정 관리 능력**이 필요하다.

 

9️⃣ 정리하기  함께 미친 사람을 찾아라

 

창업은 혼자 할 수 없다. 하지만 아무하고나 할 수도 없다. 당신의 비전에 공명하고, 같은 언어로 싸우며, 같은 실패를 웃을 수 있는 사람 — 그런 동료가 있을 때, 비전은 현실이 된다.

팀은 조직이 아니라, 서로의 확신을 지켜주는 울타리다.


다음 편에서는, 팀이 성장하면서 필연적으로 마주치는 **위기와 실패의 언어 – 버티는 감정의 구조**를 다룹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LIST